본문 바로가기

경제 [ Economy ]

"주식의 기본 용어 정리" [경제][금융][주식]


주식이란?


주식이라는 것은 주주가 주식회사에 출자한 일정한 증권(지분)을 뜻하고

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금액입니다.


주식회사 자본금 / 주식수 = 주식 이런식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주식회사 : 여러 사람들이 돈을 투자하여 만든 회사


액면가 : 한 주의 금액



※ 코스피 ( KOSPI : korea stock price index)


1980년대 1월 4일은 기점으로 정하고, 기준시점의 시가 총액을 100으로 보고 산출한 지수


KOSPI = (비교시점 시가총액 / 기준시점 시가총액) X 100 으로 산정







※ 코스닥 (KOSDAQ : korea securiti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97년도 10월 기준으로 하고,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계산해서


지수를 1000으로 놓고 산출한 지수



※ 증자


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고 자본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① 유상증자 :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돈을 주고 사는 것


② 무상증자 :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공짜로 받게 되는것



※ 감자


감자는 기업의 규모를 합병하거나 축소할때에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① 유상감자 : 주주에게서 현금을 돌려주고 주식수를 줄이는 것


② 무상감자 : 기업이 재무구조의 건실화를 위해서 대가없이 주식을 줄이는 것

(주주는 감자액 만큼 손실을 보게 됩니다)








※ 유통시장


대형 우량주를 주로 거래 합니다. '거래소시장'과 벤처기업 주식을 거래하는 '코스닥'과 함께


이미 발행되었던 주식을 일반인들끼리 사고파는 시장을 말합니다.



※ 발행시장


신규 상장이나 공모주의 청약을 통해서 자금 수요자인 기업들이 주식을 새로 발행해서 자금 공급자 투자자들에게


최초로 판매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 수정종합주가지수


수정종합주가지수 라는 것은, 신규상장이나 폐지 혹은 유,무상 증자 등을 통해서 상장 주식에 변화가 있을 경우


종합주가지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수정하는 지수를 말합니다


(비교시점 시가총액 ± 시가총액 증감분) / (기준시점 시가총액 ± 시가총액 증감분) / 10) X 100


= 수정종합주가지수


이렇게 산정됩니다.








 매수 / 매도


매수 : 주식을 사는것. 예를 들어서 B라는 주식을 사게되면 그것이 매수 입니다.


매도 : 매수와 반대로 주식을 파는 것입니다.


매수와 매도는 주식거래의 최고 기본개념이라서 주식을 시작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됩니다.


※ 주가


주가라는 것은, 말 그대로 주식의 가격이 얼마 인지 나타내는 용어 입니다.


예를들어서 주가가 10000원 이라면 그 주식의 가격은 말그대로 10000원 입니다.


Z라는 음료수가 마트에서 천원에 1000원에 판매가 된다면 음료수 가격이


1000원 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주가 역시도 1주당 얼마에 거래가 된다라는


의미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 상한가 / 하한가


상한가는 주가가 하루 최대치 까지 상승한 것을 뜻하고, 반대로 하한가 라는 것은 주가가


최대치로 하락된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상한가와 하한가는 하루 최대치는 15% 입니다.


그 이상은 올르지도 내려가지고 않습니다. 그 이상이 되게 되면 주식시장이 위험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1주당 10000원인 주식을 상한가에 사게되면 15%인 1500원이 상승해서 11500원이 되지만,


하한가가 15%가 되면 1500원이 하락한 8500원이 되게 됩니다.


상한가와 하한가의 하루 최대치는 15% 이기때문에 다음날에 다시 15% 상승하거나 하락 하는것이


물론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며칠간 연속으로 상한가나 하한가를 기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연상(연속 상한가) 연하 (연속 하한가) 라고 합니다.



※ 숨고르기


가끔 뉴스를 보게되면 간혹 숨고르기 기간에 들어갔다는 말을 들어보신적 있으실 겁니다.


숨고르기 라는 것은 주가가 며칠간 상승하다가 그 상승폭이 잠시 주춤할때 숨고르기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매일 3~4%씩 상승하다가, 금요일에 주가가 상승률이 1% 이하일 때


숨고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숨고르기를 한다고해서 숨고르기 기간 이후에 다시 주가가 상승된다는 보장은 당연히 없습니다.


주가는 상승할 수도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그냥 단지 며칠간 꾸준히 상승하던 주식이 주춤할때는


숨고르기라고 부른다는게 중요한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