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 Economy ]

"가파른 엔고'가 국내의 증시에 가져올 영향은 무엇일까?"



엔, 달러 환율이 18개월 만에 달러당 110엔 까지 내려갔다. 작년까지 120엔 선에서 움직이던 엔화가


3개월여 만에 10% 넘게 가치가 뛰어오른 것. 증시 전문가들에 의하면


엔고(엔화 강세)가 당분간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현재 엔, 달러 환율은 전보다 오른 약 0.52엔 오른 108.73엔에 거래되고 있다.


엔, 달러 환율은 지난 6일 109.79엔 까지 떨어지며 2014년 10월 이후에 처음으로 110엔이 무너졌다.


7일에는 장중 107엔 대까지 하락하기도 했었다.


안전자산인 엔화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엔화로 자금이 몰리게 될 시


국내 증시는 부정적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최근에 엔고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보다


정책 이슈가 큰 영향 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 5일 "어떤 상황에서도 경쟁적인 통화가치 절하는 피해야 할것"


"인위적인 외환시장 개입도 자제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강한 엔화 약세 정책을 추진해오던


이전과는 다르게 명확한 입장이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엔화의 강세 전환은 글로벌 복합 불확실성이 일본의 통화부양 시도를 압도한 결과이고,


엔저를 시작으로 내수 활성화를 이뤄보겠다던 아베노믹스 정책의 실패를 의미"라고 말했다.


신흥 시장의 통화들이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는 것도 엔화강세가 안전자산 선호와


관련이 없음을 알려주는것. 엔화 강세 현상을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해석하려면


신흥국 통화가 약세로 돌아서야 하기 때문, 이에 전문가들은 현재의 엔화 강세가


장기 추세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