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 ETC ]

한국 저작권 수입 "TOP 5" 저작권료 얼마일까요? 음악 저작권

음악 저작권, 저작권료, 저작권료 기간, 저작권 수입






한국 저작권료 수입 TOP 5의 저작권료는 얼마일까?


그리고 "저작권료"라는 것은 무엇이며 저작권료 기간은 언제까지


되는 것인지 아주 궁금 투성이 입니다.


한국 저작권료 수입 TOP5 저작권료 수입 부터 저작권료에 대한


모든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국 저작권 수입 랭킹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 저작권료 수입 5위 '지드래곤 (권지용)'



지드래곤은 아이돌 안에서는 저작권료 순위 1위이지만 2013년 작곡가 수입에서는 5위를 차지했었습니다.


무려 7억 9632만원의 저작권료를 기록하였습니다. 역시 저작권료 순위 공개를 하개되면 항상 지드래곤


이름이 올라오지만 아이돌이 이렇게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는건 그전에도 없었지만 앞으로도 없지 않을까요?


그런 점에서 지드래곤은 정말 대단합니다!






한국 저작권료 수입 4 '유영진'




여전히 순위 변동 없는 분입니다. SM엔터테이먼트 소속 가수들의 음악을 만들고 계신 유영진 작곡가는


8억 3648만원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작곡가로만 활동하고 계시지만 유영진 하면 떠오르는 곡이 있죠!


바로 그대의 향기 입니다. 이노래는 꼭 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한국 저작권료 수입 3  '테디'



YG 전속 작곡가인 테디는 9억 467만원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작곡가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한때 테디는 원타임(1TYME)이라는 그룹의 멤버이기도 했죠!






한국 저작권료 수입 2  '조영수'



조영수 작곡가는 1996년 그룹에 <열두 번째 테마>의 멤버로 데뷔하였고, 그 해에 MBC 가요 대학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이후 작곡가로 전향하여 현재 활발한 작곡 활동에 있습니다.


조영수 작곡가는 이승철, SG워너비, KCM, 백지영, 김종국, 이승기, 티아라, 이효리 등 많은 가수의


히트곡을 작곡해왔습니다. 13억 2500만원에서 4억여원이 줄어 9억 7385만원을 받으며


저작권료 순위 2위에 올랐습니다!






한국 저작권료 수입 1  '박진영'



박진영은 3년연속 음악 저작권 수입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박진영 저작권료 순위 1위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도 있습니다.


박진영씨는 그동안 많은 히트곡을 만들어 냈죠. 지금까지 50개에 가까운 1위곡을


발표했습니다. 그러고보니 한때는 박진영 작곡은 대부분 1위였던 기억도 납니다..


최근 몇년은 조금 주춤하는듯 하나 그래도 1위라니.. 한편으로 내심 부럽습니다 ㅎㅎ


가만히 앉아도 10억이 넘게 굴러 들어오다니.. 물론 쉬운일이 아니겠죠?



■ 저작권료란? 저작권료 계산은 어떻게 될까요?



저작권료라는 것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작품이나 따위를 사용할 때에 그 저작권을 소유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지급하는 돈을 말합니다.


저작권료의 경우 3개월 단위로 분기별로 정산이 됩니다. 예를들어 1월에 방송저작권 정산이 되고


2월에는 노래방이나 공연에서 사용된 저작권료가 정산이 되게됩니다. 그리고 3월에는


음반 판매 혹은 음원 판매로 발생된 수입을 지급하고 4월에는 또다시 방송 저작권료를 지급받게 됩니다.






■ 가수들에게 돌아가는 저작권 수입은 얼마일까요?



보신바와 같이 작곡가들 저작권 수입이 '억' 단위 인데요 하지만 작곡가와 달리 가수들에게는


별로 돌아가는것이 없다고 하네요.


첫번째, 음악이 나오려면 작사 작곡가가 음악을 만든 후


두번째, 연주가와 가수가 실연을 하고나서 세번째로 음원 제작자가 음원을 만들고


유통업체에 넘기면 네번째로 이용자가 다운을 받거나 혹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거나


CD를 구입을 하게 됩니다.


이용자가 유통업체에 돈을 주면 자기몫을 일정부분 챙긴후에 그 이후


저작권자에게 배포를 하는 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작권 집단은 협회가 따로 있어서 협회가 대행해주며 일정 부분 수수료를


챙기게 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100원을 제공하면 유통업체가 40% 저작권 집단이 60%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작사 작곡가는 10 실현자는 6 음원제작자는 나머지 44를


가져가게 됩니다. 그러니까 가수들에게 돌아가는 금액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근데 저작권료는 사망후에도 지급이 된다고 하니 이것도 유산이네요 정말 ㅎㅎ!




▼ 다른글 보기


2016/08/02 - "작곡하는법","작곡 하기","작곡 하는방법" ♬


2016/03/17 - [꿀팁!]알아두면 유용한 사이트들 모음!!!


2016/08/07 - "단기간에 살 빼는 방법", 2주만에 6kg 감량?"


2016/08/07 - "2017년 최저임금, 시간당 6,470원"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