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 Economy ]

"은행명 앞에 영어 넣으면 글로벌? 너나없이 '영문이름' 열풍"



은행 이름 앞에 영어가 없으면 어색한 시대가 됬다. 2004년 KB국민은행을 스타트로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NH농협은행 등 줄줄이 알파벳이 앞에 붙어있다.


KEB외환은행과 합병한 하나은행은 6월 7일 전산 통합 이후에 각 지점 간판을


'KEB하나은행'으로 바꿀 계획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등 정도만이 영문없는 이름을 고수하고 있는 중이다.


은행명에 알파벳 붙이기는 지방 쪽 은행이 더 가관인데,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JB전북은행 등 너나 할것없이


알파벳을 앞새우고 있다. 새마을금고 조차 MG새마을금고 이다.


은행들은 회사명에 굳이 알파벳을 넣는 이유로는 "글로벌 진출에 대비해 외국인들에게 브랜드를 어필하기 위해서다"라고 설명한다.


영문을 붙이면 브랜드 이미지가 부각되는 느낌이 든다고 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KB'란 이름에는


'국민뱅크' 라는 줄임말 외에도 '코리아 베스트'란 의미도 있다고 강조 했다.


IBK기업은행의 경우엔 법인명은 '중소기업은행'이다. 그래서 이전엔 중소기업만 상대하는 은행입니까? 라는 문의가 많았는데,


2007년 1월에 '중소'를 삭제하고 'IBK'를 넣고나서 고객이 증가 했다고 한다.


기업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기업이미지"를 교체한 덕 만은 아니지만


2006년 말 692만명 수준이던 개인고객들이 2015년 말엔 1390명으로 2배가까이 늘었다"라고 말했다.


농협의 경우엔 'NH'는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을 구분짓는 가늠자 역활을 한다. 농협 가족들도 금융지주 소속의 농협은행과


협동조합 형태의 지역농협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농협 관계자는 "노란마크 뒤에 곧바로 NH가 오면 농협은행,


지역명이 먼저 나올시엔 지역농협"이라고 설명했다.


사명에 영문 붙이기가 글로벌 전략이라고 한다만 정작 은행권의 해외 영업망 1,2위는 우리와 신한은행이다. 알파벳 없이도


충분히 해외 영업을 잘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은행 해외 네트워크는 208곳이며 신한은행은 144곳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WORI로 외국인들에게 소개하더라도 특별한 불편함은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