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처분소득 대비는 가계부채 비율 '144%'
1년사이에 7.8%가 급등했다. 작년 가계부채 증가율, 가처분소득의 2배 인 셈이다.
우리나라 가계가 버는 소득으로는 부채를 감당하기가 턱없이 부족해지고 있다.
26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837조1천766억원) 대비
가계 신용 연말 잔액(1천206조9천797억원)으로 144.1%로 집계되었다.
순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임금이나 예금 이자 등으로 마련한 소득 가운데서도 세금등을
제외 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말하는데,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은 물론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쳐진
대표적인 가계부채 통계이다. 우리나라 가계가 1년동안 처분가능소득을 모두 모으더라도
가계부채를 전부 갚기는 어렵다. 그러니까 가계 빚의 44%는 남는다는 말이다.
이 그래프는 2004년 100.8%에서 꾸준히 상승하여 2011년 131.3%로 올라서고
2012년은 133.1%, 2013년 133.9%, 2014년 136.4%가 기록되있다.
특히 이 상승곡선이 가파르다는 점이 우려되는 중이다.
작년 말 수치와 1년전을 비교해보면 7.8% 포인트나 뛰었다.
이 비율의 전년 대비 상승폭을 보면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통계를 편제한
2002년 이후 최대였던 2006년(7.2%)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 수준에 이르렀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처분가능소득에 대비 2배를 넘었다는 말이다.
가계 부채 급증은 작년 6월 기준금리 연 1.50%까지 떨어지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이 급증한 영향이 크기도 했는데, 이에 따라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작년 말에 77.4%로 1년 전보다 4.4% 포인트나 상승했다.